안녕하세요 자바 강좌중인 Falcon입니다.이번에 소개하는 스위치문도 조건에 따라 실행시키는 코드를 구분한다는 측면에서는 IF문과 유사하다.그러나 조건에 따른 실행의 경우의 수가 많으면 스위치 문장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스위치 문장은 이해하기 위해서는 키워드 case와 default가 갖는 의미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우선 case는 간단히 말해서 위치정보를 알려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위치() 안의 값에 따라 case 문의 번호가 실행되는 형식이다. 상기의 경우 num의 값이 3이므로 기본적으로 case 3 이 위치에 있는 Fantastic Java가 실행된다. 디폴트 역할은 기본적으로 위 case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으면 실행되는 부분이다.그런데 이 소스 코드에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num의 값이 3여서 Fantastic Java가 실행되는 것은 사실이다.그런데 문제는 기본 부분이 실행된다는 것을 상기의 컴파일 결과에서 알 수 있다.기본적으로 스위치 글은 마지막까지 실행한다.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값은 case3부분만 출력되어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그 때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가 break라는 것이 있다.이 키워드는 간단히 말해서 switch글을 그대로 빠져나갑니다.다는 것이다.
case 부분에 break이라는 키워드를 넣고 실행하면 자신이 원하는 값만큼 출력하여 스위치 문을 빠져 나온다. 실제로 컴파일 해보면 알 수 있다.

case와 default 그리고 break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으니 생략한다.실행 결과를 보면 case 3 부분만 출력되고 빠져나갈 수 있다.이만 [자바 강좌]9강 스위치 문장에 대해 알아보자.편을 마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