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기기] 90년대생이 음악을 듣는 방법 CD, MP3

2023년 기준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형성하고 있는 90년 대생의 음악 역사를 되돌아보면 흥미로운 점이 있다.카세트 테이프에서 시작된 CD, MP3플레이어, 스마트 폰, 유튜브까지 음악 감상 디바이스의 변화가 많다는 것이다.음향 기기는 단순히 음악을 재생하는 도구가 아니라 당시의 유행과 시대상을 담고 있는 거울 같다.PART1에서 90년 대생과 함께 자란 음향 기기 중 카세트 테이프, CD, MP3플레이어에 대한 이야기를 보자.스타 로드가 음악을 듣고 있었다”카세트 테이프”

▲ 요즘 세대는 카세트 테이프를 영화에서 접할 많다.(출처:OneVIEW)90년 대생에 카세트 테이프는 고속 도로를 연상시킨다.지금은 적지만 90년 대생이 어린 시절 방학 때와 명절 귀성 길은 고속 도로에 갇힌 것을 의미했다.꼼짝 못하다 차 안에서 울리는 것은 트로트 카세트 테이프.고속 도로 휴게소에서 산 길 보드 인기 카세트 테이프는 지루하게 견딜 수 없다 90년 대생을 위로하는 존재였다.카세트 테이프는 LP보다 부피가 작은 음질의 차이가 적고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대유행했다.단점은 재생할수록 손해가 커진다는 점.거듭 들을수록 테이프가 드리우기 때문이지만 후에는 음악이 느려지거나 끊기거나 왜곡이 있었다.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면, 끊어진 테이프를 복원하면 하나하나 연결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 1980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판매되던 ‘마이 마이’ 국내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의 대표주자는 ‘삼성 마이 마이’였다. 주머니에 쏙 들어갈 정도로 작은 사이즈와 경쟁사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굳이 기기를 꺼내지 않아도 조작할 수 있는 유선 리모컨, 녹음 기능, 15분 쾌속충전 등 충실한 기능도 인기 요인 중 하나였다.

▲ 1000개 한정 판으로 제작된 “듀스 카세트 테이프”(출처:듀스 오피셜)카세트 테이프 음반은 요즘도 보인다.국내외 가수를 불문하고 빈티지 마케팅의 일환으로 카세트 테이프 음반을 발매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BTS이 다이너마이트 앨범을 카세트 테이프로 발매하고 지난해는 듀스 한정판 카세트 테이프가 발매된 전량 판매될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 슈프림 잇츠·오케이 투 카세트 플레이어(최저치 확인은 여기서)지금도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발매되고 있다.물론 음악 감상의 목적이 아니라 인테리어, 수집 목적이 심화됐다.”슈프림 카세트 플레이어”이 그 주인공이다.특히 90년 대생에게 슈프림은 동경의 브랜드이다.”슈프림 정품”라는 말에 속아 가짜 반팔 T셔츠와 가방을 산 경험은 90년 대생에게 잘 있다.인테리어 오브제의 용도에 나와서 깨끗한 음향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방 안에 두면 인테리어 오브제로 유용하다.슈프림만의 빛깔과 폭력적인 폰트는 여전히 매력적이다.어릴 때, 슈프림을 꿈에 그리던 90년 대생다면 어른의 힘으로 방 안으로 데려간다.컴퓨터로 무엇을 굽어요?”CD”

90년 대생에게 CD는 친밀한 디바이스이다.지금은 디지털 방식으로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기도 하지만, 90년 대생의 학창 시절까지는 CD를 컴퓨터에 넣고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기도 했다.음악을 듣는 친구들은 공 CD에게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넣거나 앨범 CD에서 파일을 추출해서 보관하기도 했다.최근 앨범 CD는 아이돌 팬들만 구매하지만 00년대 초까지 앨범 CD구입은 드물지 않았다.테이프와 LP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음질 면에서도 잡음이 없이 깨끗한 소리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스크라치에 취약한 CD의 종류에 의해서 카세트 테이프보다 사용 기한이 짧은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 영화 건축학 개론 수지가 사용하던 CDP에서 유명한 “SONY D777″(출처:다음 영화)CD를 재생할 수 있는 CD플레이어 시장의 히트 아이템은 단연”CDP Sony D777″이었다.건축학 개론 수지가 사용한 CD플레이어로 유명하다.1995년 4월에 발매된 소니의 고급형 CDP에서 데스크 맨의 10주년을 기념해서 발매한 제품이다.깔끔한 사운드, 10초의 낭자 방지 기능, 슬림 타입의 충전 배터리를 도입한 얇은 두께 등으로 이름을 날렸다.CD플레이어는 요즘도 나오고 있다.최신 앨범이 CD형식으로 발매되는 경우가 아직 많기 때문이다.음악 감상의 주요 수단이 디지털 스트리밍으로 넘어가면서 최근 CD플레이어는 인테리어 용도의 코스트 퍼포먼스 제품과 고급 HI-FI제품에 양분되고 있다.▲ 아이리버 IAW-200C94,510원의 코스트 퍼포먼스 제품으로는 “아이리버 IAW-200C”를 추천한다.스탠드와 결합하고 스탠드 형식으로 사용하거나 벽에 걸것도 있고, 유저의 취향에 의해서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또,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서 제품에서 흐르는 음악을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들을 수 있고 오디오 단자로 유선 이어폰, 헤드폰과 연결하고 사용도 가능하다.디자인은 하얀 심플한 직물 디자인으로 인테리어에 포인트를 더한다.▲ 데 논 DCD-1700NE1,304,760원 CD의 음질을 고품질로 감상하고 싶은 경우는 “데 논 DCD-1700NE”을 추천한다.하이엔드 CD플레이어 모델의 하나로 DAC마스터 클럭을 통해서 원음 그 이상의 사운드를 들려준다.2개의 오실레이터의 44.1/48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담당하고 지터 소음은 줄이고 더 정확한 피크의 음을 표현했다.고음질 기능과 넓은 주파수를 지원하는 공연장에서 음악을 듣는 느낌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음악을 디지털로 소유한다고?”MP3플레이어”▲ 90년대생 그 시절 히트 아이템(출처: 다나와) MP3플레이어다. 이것이야말로 90년대생 학창시절을 대표하는 음향기기라고 할 수 있다. MP3플레이어에 유선 이어폰을 연결해 교복 소매에 넣고 팔짱을 낀 채 몰래 들어본 경험은 90년대생에게 한 번 있다. 지금은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아무 노래나 검색해 틀면 되지만 당시 MP3플레이어는 음악을 하나하나 내려받아 직접 삽입해야 했다.▲ 음악을 돈 주고 들어야 한다고? (출처:14F) MP3플레이어가 유행했던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저작권 인식이 아직 낮은 때라 불법 다운로드가 기승을 부렸다. 소리바다나 인터넷에서 음원 파일을 내려받는 경우가 성행했다. 당시 필자는 건당 500원에 음악을 구입해 음악 구입에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MP3플레이어의 장점은 컴팩트한 기기에 수백 곡을 넣을 수 있어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 초기 MP3플레이어 용량이 16MB, 32MB 수준으로 낮아 MDP가 한동안 유행하기도 했다. 휴대용 CDP보다 휴대성이 뛰어나고 녹음 기능이 있는 점이 매력이었다. 하지만 곧바로 128MB, 1GB 이상 MP3플레이어가 나와 자리에서 물러났다.MP3플레이어의 히트 아이템은 아이리버의 “엠 플레이어”를 들 수 있다.예쁜 미키 마우스 모양을 한 제품에서 왼쪽을 돌리면 다음 곡으로 흘리며 오른쪽을 찰칵 돌리면 볼륨 조절이다.불편 하면 액정이 없어서 어떤 곡이 나올지 모른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나름대로 낭만이었다.음악 감상 수단이 MP3다운로드에서 디지털 스트리밍에 전환되고 MP3플레이어는 존재감이 사라졌지만 오디오 마니아 층을 겨냥한 틈새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그 중 대표적인 제품이 2종류 있다.▲ 아이 리바ー아스텔앙도캉 A&normaSR3594만 9000원 1990년 대생의 학창 시절을 담당했던 아이리버는 이제 오디오 마니아를 공략하고 있다.아이 리바ー아스텔앙도캉 A&normaSR35는 고해상도 마스터링 퀄리티 사운드(Mastering Quality Sound, MQS)을 그대로 재생한다.새로 Quad DAC모드가 적용되고 역동적 공간감, 해상도가 향상했다.또 아스텔 앤드 캔 특유의 New Generation AMP기술이 가세하면서 편리성과 성능의 양쪽을 잡은 것이 특징이다.▲ 소니 Walkman NW-ZX707 1,486,000원 소니 Walkman NW-ZX707은 이름에서 보듯 워크맨의 철학을 계승한 제품이다.8~90년대 놀라운 편리성에서 중학·고등 학생이 히트한 것처럼 가벼운 기기 안에 최고의 음질을 넣을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소니 고유 기술인 S-Master HX를 통해서 왜곡과 소음을 줄였다.또 압축 관련 자료를 AI에서 리얼 타임 업 스케일링하는 DSEE Ultimate를 통해서 CD음질 이상의 무손실 오디오를 제공한다.USB-Audio를 지원하고 PC와 접속하고 USB DAC에서 아날로그 출력을 사용하거나 오디오 기기와 접속하고 디지털 출력을 사용할 수 있다.아날로그 감성이 지금도 느끼고 싶다면?지금까지 글을 읽고”아날로그 감성”에 관심이 생겼다만, 부담 없이 구입하기는 망설이는 것?그럼 우선”음악”그 것과 친해지자.아날로그 감성이 그대로 담긴 2개의 공간을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01종로’서울 음반’음악의 성지로 불리는 이곳은 1976년부터 50년 가까이 운영하고 있는 역사적인 레코드 샵이다.낡은 LP판에서 최신 K-POP CD까지 모두 갖추고 있다.노포 느낌의 빈티진 느낌이 좋다면 꼭”서울 음반”의 빈티진 분위기가 마음에 들어 갈 것이다.가게를 방문하면 앨범 입고 일정과 구매 예약까지 하오니 참고한다.02이태원”현대 카드비닐 앤 플라스틱”이태원의 “현대 카드 바이닐&플라스틱”은 국내 최대의 음반 매장에서 아날로그적 감성을 극대화한 공간이다.2층 건물에서 LP, CD카세트 테이프 음반은 물론 LP플레이어, 헤드폰 등 다양한 음향 기기도 볼 수 있다.1층에서는 현대 카드가 선정한 200장의 비닐 명반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청음 공간이 있기 때문에 웨이팅이 길지 않으면 맛 보고 것을 추천한다.기획, 편집/선반과 최·정표 [email protected]문/쵸은느리 [email protected](c)비교하며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