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과 IPTV 모집단 패널의 불균형…콘텐츠 제작 생태계에도 악영향 왜곡된 시청률 조사로 인해 중소 PP업계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연 3조원이 넘는 방송광고 시장에서 시청률은 광고 수주를 위한 핵심 지표가 될 수밖에 없는데 플랫폼 간 패널 비율 불균형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청률 조사업체 AGB닐슨은 PP 광고 매출원인 수도권 20~49세 시청률을 집계해 케이블과 IPTV 모집단의 패널 반영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PP업계로부터 시청률 조사 방법과 그 신뢰도에 대한 지적을 받고 있다.
주요 광고주는 수도권 2049세 남녀의 시청률을 중요 지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AGB닐슨은 20~49세 남녀 전체 인구를 1천126만여명(올해 7월 말 기준)으로 집계해 IPTV 731만명, 케이블 385만명, 스카이라이프 23만명으로 산정했다. 비율로는 IPTV 65%, 케이블 34%, 스카이라이프 2%다.하지만 AGB닐슨은 실제 시청률을 결정하는 패널 수에서는 이 같은 비율과는 전혀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IPTV 1262명, 케이블 297명, 스카이라이프 112명이다. 비율로는 IPTV 79%, 케이블 19%, 스카이라이프 7%다. 모집단 비율과 크게 다른 수치다.

주요 광고주는 수도권 2049세 남녀의 시청률을 중요 지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AGB닐슨은 20~49세 남녀 전체 인구를 1천126만여명(올해 7월 말 기준)으로 집계해 IPTV 731만명, 케이블 385만명, 스카이라이프 23만명으로 산정했다. 비율로는 IPTV 65%, 케이블 34%, 스카이라이프 2%다.하지만 AGB닐슨은 실제 시청률을 결정하는 패널 수에서는 이 같은 비율과는 전혀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IPTV 1262명, 케이블 297명, 스카이라이프 112명이다. 비율로는 IPTV 79%, 케이블 19%, 스카이라이프 7%다. 모집단 비율과 크게 다른 수치다.



